-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Redesign/semesters #309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Redesign/semesters #309
Conversation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Code review by ChatGPT
| DepartmentsModuleV2, | ||
| PlannersModule, | ||
| TracksModule, | ||
| ShareModule,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리뷰 요약
-
의존성 추가:
DepartmentsModuleV2와SemestersModuleV2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이 모듈들의 내부 구현이 호출될 때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버전 관리: 기존 모듈과 V2 모듈의 버전 차별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V2 모듈이 기존 모듈과 API 차이를 가질 경우, 호환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에러 핸들링: 해당 모듈의 초기화 또는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예외에 대한 핸들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캐시 스토어를 다룰 때는 예상치 못한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니 이에 대한 예외 처리를 고려하세요.
-
주석 및 문서화: 새롭게 추가된 모듈에 대한 문서화가 부족해 보입니다. 각 모듈의 역할 및 사용법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여 코드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테스트 케이스: 새로운 모듈에 대한 유닛 테스트가 생성되지 않았다면, 통합 테스트와 유닛 테스트를 작성하여 기존 기능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된 후에 코드를 병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export * from './IProfessorV2' | ||
| export * from './IRate' | ||
| export * from './IReview' | ||
| export * from './ISemester'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 코드 패치는 여러 모듈을 내보내는 부분에서 'V2' 버전의 모듈을 제거하였습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첫째, V2 버전을 사용하는 다른 코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코드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코드의 의도가 불명확합니다. 왜 V2 버전을 제거했는지 명시적인 주석이나 커밋 메시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코드 변경의 이유를 문서화해 추가적인 혼란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V2와 V1 버전 간의 주요 차이점을 문서화하여 새로운 코드가 이전 버전의 기능을 얼마나 유지하는지 유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패치를 더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 name: string | ||
| code: string | ||
| }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리뷰 코멘트:
-
명확한 문서화 부족:
Detail인터페이스의 속성들이 설명 없이 추가되었습니다. 각 속성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문서화가 없으면 향후 유지보수 시 혼동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타입 검토:
code속성이 추가되었지만, 이 속성의 데이터 타입이string으로만 정의되어 있습니다. 만약 특정 형식이나 제약이 필요하다면string대신 적절한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능적 요구사항 검토:
Detail인터페이스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인터페이스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 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맥락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Department와의 관계 또는 이 인터페이스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
일관성 있는 네이밍:
IDepartmentV2라는 네임스페이스와Detail이라는 인터페이스 이름이 일관성이 있는지 검토해보세요. 네이밍 컨벤션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Transform(({ value }) => parseInt(value)) | ||
| offset?: number | ||
| }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리뷰
-
isInt()검증:@IsInt()데코레이터가limit,offset,day,begin,end필드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필드는undefined일 수 있으므로, optional이 유지되는지 확인해주세요.@IsInt()가 적용된 필드가 optional인 경우, 타입 검증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예외 처리:
Transform함수들에서 예외를 처리하는 방식이 있기 때문에, 코드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기본값을 반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catch블록에서 단순히[Number(value)]를 반환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더 명확한 오류 처리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IsDefined()와 필수 필드:year와semester는 필수 필드로 정의되었지만, 해당 필드에 대해 적절한 에러 메시지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추가적인 에러 메시지를 붙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타입 일관성:
department은IDepartmentV2.Basic단일 객체로 정의되었지만 이전 버전에서는 배열이었습니다. 기존 코드와의 호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의도한 변경인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
코드 주석: JSDoc 스타일의 주석을 추가하여 각 클래스 및 메서드의 설명을 명확히 해주면 다른 개발자나 미래의 본인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효성 검사:
limit및offset필드에 대한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정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limit의 경우 0 이상의 값이어야 한다는 제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모든 필드의
@ApiPropertyOptional사용: Swagger 문서화를 위해 모든 필드에 대해@ApiPropertyOptional()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API 사용자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여러 잠재적인 버그와 개선 사항이 있으며, 이러한 점들을 검토 후 매끄럽게 다듬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export * from './IProfessorV2' | ||
| export * from './IReviewV2' | ||
| export * from './ITimetableV2' | ||
| export * from './ICourseV2'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lgtm": false,
"review_comment": "코드 패치에서 몇 가지 문제와 개선 제안을 발견했습니다:\n\n1. 중복 내보내기: ITimetableV2가 두 번 내보내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줄에서 주석 처리된 부분으로 보아 이전에 삭제된 것 같습니다. 주석을 삭제하고 나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불필요한 내보내기를 제거해야 합니다.\n\n2. 유지 보수성: 새로운 파일 ICourseV2가 추가되었는데, 이 파일의 내용 및 그 사용 예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이후에 코드베이스의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해당 모듈과 관련된 단위 테스트를 추가하여 변경 사항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n\n3. 명확한 주석 추가: 각 구성 요소의 의도나 용도에 대한 주석이 없기 때문에, 코드 읽는 사람이 각 모듈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각 내보내기 문 앞에 설명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n\n4. 폴더 구조 검토: 내보내는 모듈이 위치한 파일 경로가 적절한지 검토해 보세요. 만약 ICourseV2가 새로운 폴더에 있어야 한다면, 경로를 수정해 주셔야 합니다.",""
| # command: node dist/apps/server/apps/server/src/bootstrap/bootstrap.js | ||
|
|
||
| volumes: | ||
| rabbitmq-data: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리뷰 요약
-
헬스 체크 (Healthcheck) 관련:
redis-cli를 사용하여 Redis 서버의 상태를 체크하는 부분에서$${REDIS_PASSWORD}는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지만, 실제 환경변수가 설정되지 않으면 헬스 체크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헬스 체크를 설정하기 전에 환경변수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
RabbitMQ 설정:
- RabbitMQ의 기본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코드에 하드코딩되어 있습니다. 이는 보안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환경변수로 이 값을 관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rabbitmq-diagnostics -q ping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RabbitMQ의 상태 확인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의존성 (Depends_on):
depends_on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지 여부에 대해 주석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유용할 수 있으므로, 다시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명령어 (Command):
- RabbitMQ의 설치와 관련된 과정에서
apt-get update를 실행하는데, 이는 컨테이너의 시작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의존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미리 빌드된 이미지 또는 다른 방법으로 최적화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 RabbitMQ의 설치와 관련된 과정에서
-
코드의 주석 처리된 부분:
- 많은 설정이 주석으로 처리되어 있으며, 이는 유지보수 및 코드 이해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주석을 제거하거나 문서화를 통해 더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예상되는 버그와 보안 위협이 존재하므로, 코드를 병합하기 전에 위 사항들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 ||
| console.log('Prisma Read connected successfully') | ||
| // const extendedClient = this.$extends(signalExtension) | ||
| // Object.assign(this, extendedClient)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 코드 패치는 수하물의 로깅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잠재적인 버그 및 위험 요소가 있습니다:
-
주석 처리된 코드: 이전 코드는 이벤트 로깅을 위해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 이 코드가 남아 있는 경우, 향후 유지보수에 혼동을 줄 수 있으므로 필요 없으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타입 안전성:
e: any의 사용은 TypeScript의 타입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any를 사용하기보다는 더 구체적인 타입을 정의하여 타입 검사를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벤트 로깅의 중요성:
$on('query', ...)이벤트 로깅은 디버깅에 유용할 수 있으나, 운영 환경에서 성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 코드는 프로덕션 설정에서 활성화되어서는 안 됩니다. 환경 변수를 사용하여 로깅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확한 오류 처리: 이벤트 핸들러 내에 에러 처리가 없는 경우, 예외가 발생 시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외 처리를 추가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위험 요소를 검토한 후,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코드를 수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
| console.log('Prisma connected successfully') | ||
| // const extendedClient = this.$extends(signalExtension) | ||
| // Object.assign(this, extendedClient)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변경 사항에서 주목할 점은 $on 메서드를 사용하는 부분입니다. 1) @ts-expect-error는 TypeScript에서 오류를 무시하도록 지시하지만, 이 경우 실질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PrismaClient에서 정의되지 않은 이벤트를 처리하려고 하기 때문에 런타임 시 예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사용할 이벤트가 정확히 무엇인지 확인하고 문서에서 지원되는 이벤트 목록을 참조하여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십시오. 3) 이벤트 핸들러에 대한 타입 정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 핸들러가 국소적이지 않고 다른 부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출력 로그를 검사하거나 에러 처리에 대한 로직을 추가하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패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검토와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 ) {} | ||
|
|
||
| async findReviewByUser(user: session_userprofile): Promise<EReview.Details[]> { | ||
| const reviews = await this.prisma.review_review.findMany({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에서는 findReviewByUser 함수의 정의 뒤에 코드가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 함수가 적절히 구현되어 있어야 하는데, 현재 보여지는 내용이 완전하지 않아서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의존성 주입: 생성자의 의존성 주입 부분은 잘 정리되어 있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줄로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사용되는
prisma와prismaRead가 올바르게 초기화되어 있고 유효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
async/await 사용:
findReviewByUser함수의await호출 부분은 논리적으로 유효하지만, 에러 처리 로직이 없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호출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오류 처리 로직이 필요합니다. -
타입 정의:
session_userprofile타입이 이 코드에서 왠지 정의되지 않아 보입니다. 이 타입이 정확히 어떤 구조를 가질지 명확히 하고, 이를 보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
테스트 필요: 위와 같은 변경 사항이 있을 때, 유닛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통해 동작 안정성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코드는 몇 가지 제무가 있어 병합하기에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 "postbuild:server": "cp -r apps/server/docs/swagger.json dist/apps/server/apps/server/docs/swagger.json", | ||
| "build:scholar-sync": "nest build scholar-sync", | ||
| "build:notification-consumer": "nest build notification-consumer", | ||
| "build:server-consumer": "nest build server-consumer && yarn sentry:sourcemaps:consumer-dev",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에서 몇 가지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
디렉토리 생성 누락: 기존 코드에서는
mkdir -p명령어를 사용하여 필요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코드에서는 이 부분이 포함되지 않아, 복사하려는 대상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반드시 유지되어야 합니다. -
오류 처리 없음:
cp -r명령어를 사용할 때, 만약 파일 복사 중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이를 적절히 처리하는 로직이 없어 향후 디버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류 발생 시 로그를 남기거나, 실패한 경우 전체 프로세스를 중단하는 등의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성능 고려:
cp -r을 사용할 때,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같은 명령어가 실행될 것이므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일 존재 여부를 체크하고 복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된 패치를 병합하기 전에 위에서 언급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코드를 수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Code review by ChatGPT
| "enum": ["en", "ko"] | ||
| }, | ||
| "description": "en/ko (기본: ko). 언어 헤더 파라미터"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변경 사항 분석
-
파일 경로 변경:
- 코드에서 임포트 경로가 바뀌었습니다.
/Users/sciberbee/Documents/...경로를/Users/parksungbin/Downloads/SPARCS_OTL/...경로로 변경했습니다. - 이 변경이 타당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변경된 경로에 존재하지 않거나, 해당 파일들이 실제로 필요한 스키마를 제공하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 테스트 환경에서 파일 경로가 올바르게 참조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코드에서 임포트 경로가 바뀌었습니다.
-
정확성 문제:
import(...)구문이 webpack이나 다른 번들러에서 작동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대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 잘못된 참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드가 실행될 환경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고려하여, 이 경로가 실제 적용되는 서버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유효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
API 스펙 추가:
- 새로운 API
/api/v2/schedules에 대한 추가와 관련된 부분이 있습니다. - 새로운 엔드포인트에 대한 문서화가 잘 되어있는지, 기능적으로 제대로 구현되어 있는지가 검토되어야 합니다.
- 응답 및 요청 포맷이 일관되게 정의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ISchedules.Basic스키마가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검증해야 합니다.
- 새로운 API
-
보안 구성:
- 새로운 엔드포인트의
security필드가 비어있는 것은 보안 구성에 대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올바른 보안 정책이 정의되어야 합니다.
- 새로운 엔드포인트의
-
기타 고려 사항:
- 여러 스키마를 포함하고 있으니, 이러한 대규모의 변경이 기존 코드와의 호환성을 해치지 않는지 철저한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코드를 합치기 전에 위 언급된 사항들을 충분히 검토하고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import { SemestersModule } from './modules/semesters/semesters.module' | ||
| import { SemestersModuleV2 } from './modules/semesters/v2/semesters.v2.module' | ||
| import { SessionModule } from './modules/session/session.module' | ||
| import { ShareModule } from './modules/share/share.module'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에서 SchedulesModule을 추가하는 것은 적절해 보입니다. 하지만 몇 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습니다:
-
모듈 의존성 확인:
SchedulesModule이 다른 모듈과의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의존성이 있다면, 이를 적절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
테스트 누락 가능성: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면 기존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모듈과 관련된 테스트가 누락되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주석 추가:
SchedulesModule의 목적과 기능을 코드 주석으로 명확히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코드 유지보수 시 더 이해하기 쉬워질 것입니다. -
모듈 통합 체크: 전체 모듈을 통합하여 최종 빌드 또는 배포 전에 해당 모듈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CI/CD 파이프라인에서 적절한 빌드 및 테스트 단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코드는 잘 작성된 것 같지만 추가적인 확인과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 to: Date | ||
| name: string | ||
| }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 코드 패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타입 안정성:
from과to속성이Date타입으로 정의되어 있지만, 값이 잘못된 형식으로 제공되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Date객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로직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름의 명료성:
from과to는 명확하지만, 좀 더 읽기 쉽게startDate와endDate로 이름을 변경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킵니다. -
세부사항 부족: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각 속성의 목적을 문서화하거나 주석을 추가하여 다른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외 처리: 해당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부분에서 예외 처리를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날짜와 관련된 작업은 예상치 못한 오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유효성 검사와 오류 처리가 필요합니다.
-
네임스페이스 사용: ES6 모듈 시스템에서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팀에서 특정 패턴을 따를 필요가 없다면, 그냥
interface를 export하는 것이 더 간단하고 명확할 수 있습니다.
| export * from './IDepartment' | ||
| export * from './IDepartmentV2' | ||
| export * from './IFeed' | ||
| export * from './ILecture'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변경 사항을 보면, ISchedules 모듈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이 모듈이 신뢰할 수 있는지, 다른 엔트리와의 의존성이나 충돌 가능성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만약 ISchedules가 이전에 없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 기능에 대한 테스트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export" 행 추가로 인해 프로젝트의 빌드 결과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추가적으로, 모듈의 문서화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개발자들이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from: schedule.from, | ||
| to: schedule.to, | ||
| name: schedule.name,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형식 검증:
ESchedules.Basic의 속성을 사용하여ISchedules.Basic으로 변환하고 있지만,schedule객체가 예상한 속성을 모두 갖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없습니다. 속성을 접근하기 전에schedule이 유효한지 확인하는 로직을 추가하면 좋습니다. -
타입 안정성:
schedule이null이거나undefined인 경우에 대한 처리가 없습니다. 안전한 접근을 위해 예방적인 코드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명확성:
toJsonSchedules함수의 의도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해 함수 이름을 변경하거나, JSDoc 주석을 추가하여 어떤 목적의 함수인지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러 핸들링: 함수 내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예: 잘못된 속성 값 등)에 대해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export namespace ESchedules { | ||
| export const Basic = Prisma.validator<Prisma.schedulesDefaultArgs>()({}) | ||
| export type Basic = Prisma.schedulesGetPayload<typeof Basic>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를 보면 Next.js와 TypeScript의 사용을 염두에 두고 작성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와 개선 사항이 있습니다.
-
에러 핸들링:
Prisma.validator호출이 실패할 경우를 처리하는 로직이 없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예외 처리 로직을 추가하여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해야 합니다. -
타입 안전성 확인:
Prisma.schedulesDefaultArgs와의 일치성을 보장하기 위해, 해당 Args에 대한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타입이 변경되면, 코드는 깨질 수 있습니다. -
주석 추가: 각각의 코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개발자가 코드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네임스페이스 사용에 대한 필요성:
ESchedules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한지 재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프로젝트 구조와 규모에 따라, 단순한 모듈로 작업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보세요. -
import 메타데이터 검토: Prisma 모듈이 올바르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관련된 패키지의 버전 문제를 검토하세요.
위의 지적 사항들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장기적으로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 `name` VARCHAR(255) NOT NULL, | ||
|
|
||
| PRIMARY KEY (`id`) | ||
| ) DEFAULT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unicode_ci;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 코드 패치에는 몇 가지 잠재적인 버그와 개선 사항이 있습니다.
-
예약어 사용:
from은 SQL의 예약어이기 때문에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start_time또는from_d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시간 조정:
DATETIME(3)는 밀리초까지 지원하지만,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를 활용하지 않는다면DATETIME만 사용해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검증 및 무결성:
year필드가 특정 규칙을 준수해야 하는 경우, 제약 조건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유효한 연도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NULL 값 처리: 현재 모든 필드는
NOT NULL제약 조건이 부여되어 있지만,to필드가from필드보다 나중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제약 조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추가적인 로직이 필요합니다. -
문서화: 스키마에 대한 문서화가 부족해 보입니다. 이 테이블이 시스템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주석을 추가하는 것도 좋습니다.
| ScheduleRepository, | ||
| NotificationPrismaRepository, | ||
| SyncRepository, | ||
| CustomblockRepository,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에 새로운 ScheduleRepository가 추가되었습니다.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 보세요:
-
의존성 관리: 새로 추가된
ScheduleRepository가 기존의 의존성과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 리포지토리가 데이터베이스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검토해보세요. -
테스트 커버리지:
ScheduleRepository에 대한 테스트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테스트 레벨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
성능 고려사항: 기존 리포지토리와 함께 사용될 때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데이터 쿼리가 많아질 경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세요.
-
명명 규칙: 만약
ScheduleRepository가 현재의 다른 리포지토리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면 명확한 네이밍이 필요합니다. 리포지토리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작성된 코드가 올바르게 작동하게 확인하기 위한 코드 리뷰와 실제 테스트를 권장합니다.
| async getSchedules(): Promise<ESchedules.Basic[]> { | ||
| return await this.prismaRead.schedules.findMany() | ||
| }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리뷰 결과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사항이 발견되었습니다:
-
에러 핸들링 부족:
getSchedules메서드에서 데이터베이스 쿼리 호출 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처리하는 코드가 없습니다. 에러 처리를 추가하여 호출자에게 적절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async getSchedules(): Promise<ESchedules.Basic[]> { try { return await this.prismaRead.schedules.findMany(); } catch (error) { // 적절한 에러 처리 로직 추가 throw new Error('일정을 불러오는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
-
명확한 반환 타입:
getSchedules메서드에서 반환 받는 데이터가 항상ESchedules.Basic[]타입을 보장하는지 확인하는 로직이 필요합니다. Prisma의findMany는 예상치 못한 구조의 데이터를 반환할 수 있기 때문에 반환값의 구조를 맞춰주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코드 주석 부족: 이 클래스 및 메서드에 대한 주석이나 설명이 전혀 없습니다. 클래스와 각 메서드의 목적 및 사용 방법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면 코드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
의존성 주입 검토:
PrismaService와PrismaReadService가 적절하게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들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항들을 반영해 개선 후에 다시 검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
||
| model session_userprofile_notification_history { | ||
| id Int @id @default(autoincrement()) | ||
| userprofile_id Int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리뷰 코멘트
-
유효성 검사 부족:
schedules모델의 필드from과to에 대해 유효성 검사가 구현되어 있지 않습니다. 특히from날짜가to날짜보다 이후인 경우를 처리하지 않으면 데이터 무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null 허용 여부 검토: 모든 필드가 Nullable인지 아닌지에 대한 명확한 설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year와name이 필수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정의해야 합니다. 현재 상태에서는 기본값이나 null을 허용할 수 없어 의도치 않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델 이름 일관성:
schedules이라는 모델 이름이 비즈니스 로직에 맞는 것인지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능한 경우 더 명확한 네이밍을 고려하세요. -
문서화 부족: 이 모델이 무엇을 의도하는지에 대한 주석이나 문서가 부족합니다. 후속 개발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변경 사항은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합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Code review by ChatGPT
| export * from './ILectureV2' | ||
| export * from './IProfessorV2' | ||
| export * from './IReviewV2' | ||
| export * from './ITimetableV2'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에서 ICourseV2를 중복 내보내고 있습니다. 첫 번째 줄에서 ICourseV2를 내보내고, 마지막 줄에서는 다시 삭제하고 있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코드로, 불확실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코드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내보내기를 제거하고 파일을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반적으로, 명확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중복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LGTM 👍
1de3afd to
dfcc08c
Compare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Code review by ChatGPT
| "enum": ["en", "ko"] | ||
| }, | ||
| "description": "en/ko (기본: ko). 언어 헤더 파라미터"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 검토
문제점 및 리스크
-
경로 하드코딩: ":/Users/sciberbee/Documents/otl/..." 경로에서 "/Users/parksungbin/Downloads/SPARCS_OTL/..."로 변경됨. 파일 경로가 하드코딩되어 있어, 다른 개발환경에서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음. 이로 인해 유연성이 떨어지고, 팀원들이 코드를 실행할 때마다 경로를 수정해야 할 수도 있음.
-
버전의 일관성: 모든 스키마가 같은 디렉토리에서 업데이트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려움. 경로가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파일이 모든 개발자에게 동일한 상태로 반영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함.
-
에러 핸들링: 스키마에 대한 참조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에러처리 로직이 누락된 것 같음. 만약 스키마 파일이 삭제되거나 변경된다면, 이로 인해 런타임 중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음.
개선 제안
- 환경 세팅 자동화: 하드코딩된 경로 대신, 환경 변수를 사용하여 파일 경로를 설정할 것을 권장함. 예를 들어,
process.env.NOTIFICATION_SCHEMA_PATH와 같이 설정하여 여러 환경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스키마 검증 기능 추가: 스키마의 유효성과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로직을 추가하여, 동적으로 변경되는 경로에 대해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함.
- 주석 추가: 경로 변경에 대한 맥락 설명 및 이유를 코드 내 주석으로 남겨주면 향후 유지보수 시 도움이 될 것임.
| to: Date | ||
| name: string | ||
| }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에서 몇 가지 개선사항 및 잠재적인 버그가 발견되었습니다. 첫째, from과 to 속성이 Date 타입으로 정의되어 있으나, 입력 값이 유효한 날짜인지 확인하는 로직이 없습니다. 이는 런타임 오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둘째, from과 to의 날짜 범위가 유효한지 (즉, from이 to보다 이전인지 확인) 확인하는 검증 로직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name 속성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빈 문자열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검증 절차를 추가함으로써 코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export * from './IDepartment' | ||
| export * from './IDepartmentV2' | ||
| export * from './IFeed' | ||
| export * from './ILecture'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ISchedules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점에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 파일 존재 여부:
ISchedules파일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세요. 파일이 없어도 코드는 빌드되지 않거나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의존성 관리: 만약 다른 모듈이나 파일에서
ISchedules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해당 모듈들에서의 의존성을 점검해야 합니다. 의존성이 많아지면 코드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테스트:
ISchedules의 기능이 구현된 후, 관련된 테스트 케이스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도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버그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 문서화:
ISchedules인터페이스의 기능에 대한 문서화가 필요합니다. 다른 개발자들이 이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한 후, 제안된 패치를 재검토해야 합니다.
| from: schedule.from, | ||
| to: schedule.to, | ||
| name: schedule.name,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리뷰 코멘트
-
타입 안전성:
ESchedules.Basic과ISchedules.Basic의 속성이 매칭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schedule의 속성이 누락되거나 타입이 맞지 않으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지 않도록 타입 검사를 구현하거나, 매핑 과정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외 처리: 함수가
undefined또는null인schedule객체를 받았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경우 예외를 발생시키거나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
내부 로직 간소화: 만약
ESchedules.Basic과ISchedules.Basic이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전개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더 간결하게 변환할 수 있습니다.export const toJsonSchedules = (schedule: ESchedules.Basic): ISchedules.Basic => ({ ...schedule });
단, 이 방법은 두 인터페이스가 매치될 때만 유효합니다.
-
문서화: 함수의 의도와 사용 방법을 문서화하면 향후 유지보수 및 사용에 도움이 됩니다. 함수의 매개변수 및 반환 타입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종합적으로, 타입 확인 및 오류 처리 부분을 개선하면 더 견고한 코드가 될 것입니다.
| const schedules = await this.schedulesService.getSchedules() | ||
| return schedules.map((schedule) => toJsonSchedules(schedule)) | ||
| }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리뷰 의견
-
비동기 처리:
getSchedules메서드에서schedulesService.getSchedules()호출 후, 에러가 발생할 경우를 고려하지 않아 예외 처리가 필요합니다.try-catch블록을 추가하여 에러 핸들링을 구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
리턴 타입 확인:
schedulesService.getSchedules()의 반환 타입이 확실히ISchedules.Basic[]라는 보장이 있나요? 반환 타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서비스 메서드에서 타입 정의를 확인하고, 베스트 프랙티스를 참고하여 타입 안정성을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리포지토리나 서비스 의존성 주입: 현재
SchedulesService가 제대로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SchedulesService의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PI 문서화: API 엔드포인트가 명세되어 있지 않은 경우, Swagg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문서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는 API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테스트 케이스: 이 코드가 실제로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 케이스가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유닛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를 통하여 기능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export namespace ESchedules { | ||
| export const Basic = Prisma.validator<Prisma.schedulesDefaultArgs>()({}) | ||
| export type Basic = Prisma.schedulesGetPayload<typeof Basic>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는 Prisma를 사용하여 스케줄 관련 타입을 정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와 개선 제안을 제시하겠습니다.
-
Type Safety:
Prisma.validator<Prisma.schedulesDefaultArgs>()({})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빈 객체를 전달하는 것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주석 추가: 코드의 목적과 각 구성 요소의 역할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유지 보수 및 코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네임스페이스 사용: ESchedules 네임스페이스가 다른 설정이나 모듈과 충돌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종종 네임스페이스는 의도하지 않은 이름 충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추가: 이 코드가 실제로 예상하는 동작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단위 테스트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타입이 제대로 지정되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
출력 검토:
Basic타입이 정확하게 정의되고 사용될 수 있도록schedulesGetPayload의 결과물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올바른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결국, 코드에 대한 잠재적인 버그가 있으므로 추가 검토와 수정이 필요하며, 현재로서는 머지하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name` VARCHAR(255) NOT NULL, | ||
|
|
||
| PRIMARY KEY (`id`) | ||
| ) DEFAULT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unicode_ci;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에 대한 리뷰 결과입니다. 아래의 점들을 고려해 주세요:
- 충돌 가능성: 'from'과 'to'는 SQL에서 예약어로 사용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from_time'과 'to_time'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 DATETIME(3) 타입: DATETIME(3) 타입은 마이크로초까지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이 정말 필요한지 확인하고, 필요 없다면 일반 DATETIME형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 YEAR 범위: 'year' 필드가 INTEGER로 정의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연도는
YEAR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유효성을 강화합니다. - NULL 허용 여부: 이미
NOT NULL제약 조건이 설정되어 있으나, 각 필드에 대해 비즈니스 로직이 확실히 이러한 제약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인덱스 추가 여부: 'from' 및 'to' 필드는 일정 기간 검색이나 정렬에 자주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필드들에 대해 인덱스를 추가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이러한 사항들이 해결된 후에야 코드가 병합될 준비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ScheduleRepository, | ||
| NotificationPrismaRepository, | ||
| SyncRepository, | ||
| CustomblockRepository,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 코드 패치는 여러 리포지토리들에 대해 ScheduleRepository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우려사항이 있습니다:
-
중복: 리포지토리를 import하고 사용하는 코드의 여러 장소에서 중복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중복된 코드를 제거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의존성 문제:
ScheduleRepository를 추가함으로써 무언가가 이 리포지토리에 의존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의존성과 초기화 순서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모듈에서 이 리포지토리를 사용하는 경우, 이 리포지토리가 초기화되기 전에 해당 모듈이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테스트 부족: 추가된 리포지토리에 대한 유닛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가 없는 경우, 향후 코드 변경 시 예기치 않은 버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를 추가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문서화: 새로운 리포지토리가 왜 추가되었는지 설명하는 문서화가 필요합니다. 이는 후속 개발자가 코드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이 패치는 구체적인 테스트와 문서화를 보완한 후에 병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 async getSchedules(): Promise<ESchedules.Basic[]> { | ||
| return await this.prismaRead.schedules.findMany() | ||
| } | ||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에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다음 사항을 고려하세요:
-
에러 핸들링 부족:
getSchedules메서드에서 데이터베이스 호출에 실패할 경우 에러 핸들링이 없습니다. Promise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적절히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try-catch 블록을 사용하여 예외를 처리하고 적절한 처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의존성 주입 확인:
PrismaService와PrismaReadService의 인스턴스가 제대로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들 서비스가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을 경우, 런타임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비동기 호출 최적화:
await를 사용하여this.prismaRead.schedules.findMany()의 결과를 기다리고 있지만,return await대신에 단순히return this.prismaRead.schedules.findMany()로 작성하는 것이 코드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유효성 검사: 데이터베이스에서 반환된 스케줄 결과에 대한 유효성 검사 또는 타입 검증을 고려하십시오. 반환된 데이터가 예상하는 형식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같은 점들을 개선하면 더 안전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
||
| model session_userprofile_notification_history { | ||
| id Int @id @default(autoincrement()) | ||
| userprofile_id Int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에 대한 몇 가지 우려 사항이 있습니다:
-
필드 유효성 검증 부족:
schedules모델에서 있는 필드들(year,from,to,name)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나 제약 조건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year는 특정 범위 내의 값이어야 하며,from과to는 날짜의 유효성을 검사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잘못된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작과 종료 날짜의 연관성:
from과to가 명확하게 연결되어야 합니다.to날짜가from날짜보다 이전일 수 없다는 제약 조건이 필요합니다. 이 조건이 없으면 일관성 없는 일정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
주석 부족: 새로운 모델과 필드에 대한 주석이 없기 때문에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각 모델의 목적과 각 필드의 의미를 설명하는 주석이 추가되면 유지보수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의미있는 필드 이름:
name필드는 간단하게name이라고 되어 있는데, 더 구체적인 이름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schedule_name등으로 변경하면 목적이 더 분명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한 후에 병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No description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