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oneAppSecret added #287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oneAppSecret added #287
Conversation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Code review by ChatGPT
| return jsonwebtoken.verify(token, oneAppSecret ?? '', { | ||
| ignoreExpiration: true, | ||
| algorithms: ['HS256', 'HS384', 'HS512'], | ||
| }) as unknown as T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에서 몇 가지 주요 사항을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
변수 이름 변경:
secret에서oneAppSecret으로 변경하였는데, 이 변수의 의미가 동일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된 키를 사용하게 되면 인증 시스템에 보안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oneAppSecret이secret과 같은 목적을 가지는지를 명확히 검토해야 합니다. -
검증 로직 리팩토링:
jsonwebtoken.verify호출에서secret ?? ''을oneAppSecret ?? ''로 변경했습니다. 이 부분이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가 아닌 다른 방어적 프로그래밍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에러 처리:
TokenExpiredError처리 로직이 명확하지만,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에러에 대한 처리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jsonwebtoken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에러 타입에 대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
주석 및 문서화: 변경된 변수 이름에 대한 주석과 문서를 보강하면 좋습니다. 특히 보안 관련 코드에서는 주석이 중요하기 때문에, 코드를 유지보수하는 다른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이 필요합니다.
-
알고리즘 보안:
algorithms: ['HS256', 'HS384', 'HS512']목록이 적절한지 다시 검토해야 합니다. 모든 알고리즘이 안전한 것은 아니며, 현재 보안 위협을 고려했을 때 강화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패치를 수정한 후 병합 여부를 재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 oneAppSecret: process.env.ONEAPP_JWT_SECRET, | ||
| }) | ||
|
|
||
| const getSsoConfig = (): any =>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확인했습니다:
-
환경 변수 검증 부족:
process.env.ONEAPP_JWT_SECRET변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로직이 없습니다. 이 변수는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값이 존재하지 않거나 잘못된 값인 경우에 대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
타입스크립트 타입 지정:
getSsoConfig함수의 반환 타입이any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더 명확한 타입을 정의하여 타입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주석 부족: 변경된 부분에 주석이 없습니다. 해당 코드는 기능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변경 이유와 함께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형식 일관성: 기존의
getJwtConfig함수와 유사한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getSsoConfig가 다른 형식을 사용하고 있다면, 일관성을 위해 리팩토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검토 후 수정한 뒤에 머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oneAppSecret=oneappsecretkey | ||
| EXPIRES_IN=1800 | ||
| REFRESH_EXPIRES_IN=2592000 | ||
| saltRounds=10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코드 패치에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
보안 위험:
oneAppSecret와 같은 비밀 키를 코드에 직접 포함하는 것은 좋은 관행이 아닙니다. 이러한 민감한 정보는 환경 변수로 설정하거나 별도의 비밀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일관성 문제: 환경 변수명은 대문자로 통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oneAppSecret은ONE_APP_SECRET와 같은 형식이 더 적절합니다. -
주석 부족: 새로운 변수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다른 개발자들이 이 변수가 무엇을 위해 사용되는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 코드의 보안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No description provided.